미식축구의 스페셜 팀은 킥 플레이 중에 필드에 들어가는 선수들을 가리킵니다. 스페셜 팀은 킥오프, 필드골 킥, 펀트, 펀트리턴, 그리고 킥리턴 플레이와 관련된 역할을 담당합니다. 이들은 주로 킥 오프 및 필드골 킥에서의 킥을 맡는 키커와, 펀트와 펀트리턴에서의 킥을 담당하는 펀터와 리턴맨으로 나뉩니다.
1. 키커/플레이스키커 (K/PK) – 키커 또는 플레이스키커는 필드골을 차고 터치다운 이후 시도되는 익스트라 포인트 킥을 담당하는 선수입니다. 키커는 일반적으로 킥오프도 처리하지만, 일부 팀은 필드골과 PAT(터치다운 이후 추가점)을 위한 한 명, 그리고 킥오프를 위한 다른 한 명과 같이 두 명의 플레이스키커를 가지고 있습니다.
2. 리턴 스페셜리스트 (RS) – 리턴 스페셜리스트는 펀트와 킥오프의 리턴에 투입되는 선수입니다. 리턴 스페셜리스트의 주요 목표는 킥오프나 펀트를 받아 공을 최대한 상대팀의 엔드존 쪽으로 뛰어가는 것입니다. 일부 팀은 리턴 스페셜리스트를 이용해 킥오프와 펀트를 모두 리턴시키지만, 다른 팀은 킥오프나 펀트 중 한 가지만 리턴시킬 특정 선수를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3. 킥 리턴어 (KR) – 킥 리턴어는 킥오프만을 리턴하는 리턴 스페셜리스트로, 상대팀의 킥오프를 받아서 공을 자신의 필드와 엔드존 쪽으로 뛰어가는 역할을 합니다.
4. 펀트 리턴어 (PR) – 펀트 리턴어의 역할은 상대 팀이 킥을 내보낸 후(드롭킥), 보통 4회차 다운일 때, 공을 받아내는 것입니다. 펀트 리턴어는 펀트를 받아내야 할지, '페어 캐치(fair catch)'를 선언해야 할지, 아니면 공이 땅에 닿게 둬서 '터치백(touchback)'이 되게 할지를 결정해야 합니다.
5. 펀터 (P) – 팀이 4회차에서 상대팀이 볼을 가지지 못하도록 필요한 10야드를 얻기 어려울 때, 팀은 대개 펀트를 차거나 볼을 상대팀에게 킥하여 상대팀이 자신의 엔드존에 가능한 가까이서 공격을 시작하도록 합니다. 이때 펀터는 필드에 들어와 상대팀 필드 절반으로 최대한 멀리 차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6. 롱 스냅퍼 (LS) – 롱 스냅퍼는 그의 다리 사이로 공을 뒤로 패스하거나 차는 역할을 합니다.
7. 홀더 (H) – 홀더는 롱 스냅퍼의 패스로부터 볼을 받아 키커/플레이스키커를 위해 그 자리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홀더는 일반적으로 공격 라인 뒤에서 7~8야드 정도의 위치에 서 있습니다.
8. 거너 (G) – 건너는 킥오프 이후 볼을 잡거나 가진 선수를 가능한 빨리 태클하는 역할을 하는 선수입니다.
9, 퍼스널 프로텍터 (PP) – 가끔 '업백'이라고도 불리며, 퍼스널 프로텍터는 펀터의 마지막 수비선 역할을 합니다. 퍼스널 프로텍터는 가끔씩은 펀터 대신 '스냅'을 받아 달려가거나 공을 던지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합니다.
'spor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식축구 - 기본 공격 포메이션 (0) | 2024.01.30 |
---|---|
미식축구 포지션 정리 - 종합 (0) | 2024.01.23 |
미식축구 포지션 정리(디펜스) 수비 (0) | 2024.01.23 |
미식축구 포지션 정리(오펜스) 공격 (1) | 2024.01.21 |
미식축구 입문 가이드 (NFL / NCAA) (1) | 2024.01.21 |